NVIDIA CEO 젠슨 황이 CES 2025 키노트에서 선보인 혁신적인 AI 기술들을 현장에서 직접 살펴봤습니다. '물리적 AI'라는 새로운 패러다임부터 책상 위의 슈퍼컴퓨터까지,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미래 기술을 만나보세요.
🌟 '물리적 AI'가 온다! 디지털을 넘어 현실로
"AI는 이제 단순한 데이터 처리를 넘어 물리적 세계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단계로 진화했습니다." 젠슨 황의 이 선언은 AI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물리적 AI는 기존 AI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기존의 AI가 주어진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찾는 데 중점을 뒀다면, 물리적 AI는 현실 세계의 물리 법칙과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마치 인간이 물리 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행동하는 것처럼, 물리적 AI는 중력, 마찰, 운동 등 기본적인 물리 법칙을 이해하고 이에 따라 행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의 중심에는 '토큰'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토큰은 AI가 현실 세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기본 단위로, 마치 인간의 뉴런처럼 작동합니다. AI는 토큰을 통해 시각 정보, 물리적 속성, 움직임 등을 통합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실 세계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할 수 있게 됩니다.
실제 적용 사례도 매우 다양합니다. 자율주행 자동차는 도로 상황을 실시간으로 이해하고 물리적 법칙에 따라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으며, 산업용 로봇은 복잡한 제조 환경에서 물체의 무게와 재질을 고려하여 정교한 조립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재난 현장에서 활동하는 구조 로봇은 불안정한 지형과 장애물을 파악하여 최적의 경로를 찾아낼 수 있게 됩니다.
💪 Blackwell: AI 시대의 게임체인저
Blackwell은 단순한 GPU 아키텍처의 진화를 넘어선 혁신적인 도약입니다. 1조 개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탑재한 이 차세대 아키텍처는 이전 세대인 Hopper 대비 2배 이상 향상된 AI 연산 성능과 30% 개선된 에너지 효율성을 자랑합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새롭게 도입된 뉴럴 렌더링 기술입니다. 이는 AI를 활용하여 기존 렌더링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인 접근법입니다. 예를 들어, 1초에 수천 개의 광선을 추적하여 실시간으로 사실적인 그림자와 반사를 구현하는 3세대 RT 코어는, 현실과 구분하기 어려운 수준의 그래픽을 가능하게 합니다.
RTX 50 시리즈는 이러한 Blackwell의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플래그십 모델인 RTX 5090 Ti는 8K 해상도에서 초당 120프레임 이상을 구현하며, DLSS 4.0을 통해 4K 해상도의 게임을 8K급 화질로 업스케일링할 수 있습니다. 중급 모델인 RTX 5080은 4K 게이밍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보급형 모델인 RTX 5060도 1440p 해상도에서 뛰어난 게이밍 경험을 제공합니다.
🚀 당신의 책상 위로 온 슈퍼컴퓨터
Project Digits는 AI 개발의 민주화를 실현하는 혁신적인 제품입니다. 크기는 일반 데스크톱 PC와 비슷하지만, 그 안에는 놀라운 성능이 담겨 있습니다. 4개의 H200 텐서 코어 GPU와 128코어 ARM 프로세서, 1TB HBM3 메모리를 탑재하여 기존 워크스테이션 대비 최대 10배 빠른 AI 모델 훈련이 가능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C1S4/btsLGMW1TDc/XJKS4URwUK6cc7dYnMK0j1/img.png)
개발 환경도 인상적입니다. PyTorch, TensorFlow, JAX 등 주요 AI 프레임워크를 모두 지원하며, NVIDIA의 CUDA-X AI 라이브러리가 기본 탑재되어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원클릭 AI 개발 환경 구축 기능입니다. 초보자도 복잡한 설정 없이 바로 AI 개발을 시작할 수 있죠.
Project Digits의 활용 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 의료 연구진은 MRI 영상을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AI를 개발할 수 있고, 건축가는 건물의 3D 모델을 생성하는 AI를 훈련할 수 있습니다. 예술가들은 새로운 창작 도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스타트업은 혁신적인 AI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NVIDIA는 Project Digits의 출시 가격을 3,000달러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2025년 5월 출시 예정입니다.
🌍 Cosmos: AI가 물리 세계를 이해하다
NVIDIA Cosmos는 2천만 시간의 비디오 데이터를 학습한 세계 최초의 World Foundation Model입니다. 이 방대한 데이터를 통해 Cosmos는 물체의 움직임, 물리 법칙, 인과 관계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gMOJZ/btsLIjsn2jn/ZPVLfgELDnKuH4nKwwMqIK/img.png)
Cosmos의 핵심은 멀티모달 학습 능력입니다. 시각 정보뿐만 아니라 물리적 속성, 시간의 흐름, 객체 간의 관계까지 통합적으로 이해합니다. 예를 들어, 유리잔이 테이블 가장자리에 있는 상황을 보면, Cosmos는 유리잔이 떨어질 수 있다는 위험을 예측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한 행동을 계획할 수 있습니다.
Omniverse와의 통합은 이러한 능력을 한층 더 확장합니다. Cosmos가 이해한 물리 법칙은 Omniverse의 정교한 시뮬레이션 엔진과 결합하여, 현실과 구분할 수 없는 가상 환경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자율주행차 개발에서 신약 개발, 기후 변화 예측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 로봇의 ChatGPT 모멘트가 온다
ChatGPT가 언어 모델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듯이, 젠슨 황은 로봇 공학에서도 비슷한 혁명적 순간이 올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이는 로봇이 인간의 자연스러운 지시를 이해하고, 복잡한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순간을 의미합니다.
Isaac Groot 플랫폼은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는 핵심 도구입니다. 이 플랫폼은 로봇 제어, 센서 통합, 물리 시뮬레이션, 기계 학습을 하나로 통합합니다. 특히 Apple Vision Pro와의 연동은 혁신적입니다. 사용자는 마치 증강현실 게임을 하듯이 직관적인 제스처로 로봇을 제어할 수 있으며, 로봇의 시야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습니다.
실제 활용 사례도 매우 다양합니다. 아마존의 물류 창고에서는 Isaac Groot로 개발된 로봇이 상품을 분류하고 포장하며, 삼성전자의 스마트 팩토리에서는 정교한 스마트폰 조립 작업을 수행합니다. 병원에서는 수술실 보조 로봇으로 활용되고, 건설 현장에서는 위험한 고소 작업을 대신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6bU4V/btsLIVxzhTT/3XawRsXtapyFlEftZDXZSk/img.png)
💡 미래는 이미 시작되었다
젠슨 황이 CES 2025에서 보여준 비전은 단순한 미래의 청사진이 아닙니다. 물리적 AI, 초소형 슈퍼컴퓨터, 지능형 로봇 등은 이미 우리 곁에 다가와 있습니다. 이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러한 기술을 어떻게 인류의 발전을 위해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지혜일 것입니다.
#NVIDIA, #CES2025, #물리적AI, #Blackwell, #ProjectDigits, #NVIDIACosmos, #IsaacGroot, #AI혁명, #젠슨황, #미래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