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스토리텔링 2

중1수학(2) - 정수와 유리수의 세계로 떠나는 여행

여러분은 혹시 은행 통장을 보면서 마이너스 통장이 왜 있는지 궁금해한 적이 있나요? 또는 한겨울 영하 10도의 날씨를 보며 '영하'라는 말이 어떻게 숫자로 표현될 수 있는지 생각해본 적 있나요? 우리 주변에는 이렇게 0보다 작은 수나 1보다 작은 수로 표현해야 하는 상황들이 정말 많이 있답니다. 이제부터 우리는 이런 다양한 수들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볼 텐데, 이 여행이 끝나면 여러분은 우리 주변의 수많은 현상들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될 거예요.1. 모험의 시작: 정수와 유리수의 역사와 배경1-1. 숫자 사용의 출발: 자연수에서 0, 음수로사람들은 아주 옛날부터 사과나 양처럼 ‘세어야 하는 대상’을 나타내기 위해 1, 2, 3과 같은 자연수를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빚이 생기거나 온도가 ..

카테고리 없음 2025.01.09

중1수학(1) - 소인수분해와 최대공약수/최소공배수의 마법이야기

아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소인수분해”는 물론이고, 그 소인수분해를 활용해 “최대공약수(GCD)”와 “최소공배수(LCM)”까지 한 번에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마치 한 편의 작은 동화를 읽듯이, 수학적 개념을 흥미롭게 만나 봅시다!0. 오늘의 세 주인공: 소인수분해,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옛날 옛적, 수학의 왕국에는 “소수(소인수)들의 나라”가 있었어요. 그 나라는 모든 수를 ‘소수’라는 작은 조각(블록)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믿었죠.이 ‘소수 나라’에서 탄생한 강력한 기술이 바로 소인수분해예요.그리고 소인수분해를 무기로, 최대공약수(GCD)와 최소공배수(LCM)를 한 방에 해결하는 전설의 마법도 쓰게 되었답니다.1. 옛날 이야기: 수를 쪼개던 사람들의 비밀“수”는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들의 관..

카테고리 없음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