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2

중1수학(2) - 정수와 유리수의 세계로 떠나는 여행

여러분은 혹시 은행 통장을 보면서 마이너스 통장이 왜 있는지 궁금해한 적이 있나요? 또는 한겨울 영하 10도의 날씨를 보며 '영하'라는 말이 어떻게 숫자로 표현될 수 있는지 생각해본 적 있나요? 우리 주변에는 이렇게 0보다 작은 수나 1보다 작은 수로 표현해야 하는 상황들이 정말 많이 있답니다. 이제부터 우리는 이런 다양한 수들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볼 텐데, 이 여행이 끝나면 여러분은 우리 주변의 수많은 현상들을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게 될 거예요.1. 모험의 시작: 정수와 유리수의 역사와 배경1-1. 숫자 사용의 출발: 자연수에서 0, 음수로사람들은 아주 옛날부터 사과나 양처럼 ‘세어야 하는 대상’을 나타내기 위해 1, 2, 3과 같은 자연수를 사용했습니다. 그러나 빚이 생기거나 온도가 ..

카테고리 없음 2025.01.09

중1수학(1) - 소인수분해와 최대공약수/최소공배수의 마법이야기

아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소인수분해”는 물론이고, 그 소인수분해를 활용해 “최대공약수(GCD)”와 “최소공배수(LCM)”까지 한 번에 이해할 수 있을 거예요. 마치 한 편의 작은 동화를 읽듯이, 수학적 개념을 흥미롭게 만나 봅시다!0. 오늘의 세 주인공: 소인수분해, 최대공약수, 최소공배수옛날 옛적, 수학의 왕국에는 “소수(소인수)들의 나라”가 있었어요. 그 나라는 모든 수를 ‘소수’라는 작은 조각(블록)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믿었죠.이 ‘소수 나라’에서 탄생한 강력한 기술이 바로 소인수분해예요.그리고 소인수분해를 무기로, 최대공약수(GCD)와 최소공배수(LCM)를 한 방에 해결하는 전설의 마법도 쓰게 되었답니다.1. 옛날 이야기: 수를 쪼개던 사람들의 비밀“수”는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들의 관..

카테고리 없음 2025.01.09

숫자 없이 개념만 전하는 아빠의 수학 이야기

선행학습 없이 맞이하는 중학교 입학올해 아이가 중학교에 입학합니다. 아내와 저는 선행학습이 필요하지 않다는 교육 철학을 가지고 있었기에, 지금까지 중학교 과정은 전혀 시키지 않았습니다. 그러던 중 최근 아이가 스스로 EBS 수학교재를 사달라고 했네요.첫 교재 선택의 시행착오처음에는 'EBS 뉴런'이라는 책을 구매했지만, 아이는 작은 글씨와 두꺼운 분량에 거부감을 보였습니다. 결국 'EBS 중학 예비수학'으로 교재를 바꾸었죠. 이런 모습에서 중학교 수학에 대한 아이의 부담감이 엿보였습니다.수학 잘하는 아빠의 새로운 고민중학교 수학이 어렵지 않다고 생각했던 제가 이제는 부모의 입장이 되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학교에서 배우면 되겠지'라는 생각과 '기본 개념을 미리 이해시켜주면 어떨까'라는 마음이 교차합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5.01.09

LLM의 동작 원리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방법: LLM Visualization 소개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 LLM)의 작동 방식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놀라운 사이트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LLM Visualization이란?LLM Visualization은 복잡한 언어 모델의 내부 동작을 interactive한 3D 시각화를 통해 설명해주는 교육 사이입니다. 텍스트 기반의 상세한 설명과 동적인 시각화를 결합하여, 기술적 배경이 없는 사람도 LLM의 핵심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LLM Visualization Site주요 특징인터랙티브 3D 시각화토큰화, 임베딩, 어텐션 메커니즘 등 핵심 개념을 동적인 3D 그래픽으로 표현실시간으로 조작 가능한 다이어그램으로 직관적 이해 도모단계별 학습 구조기초부터 심화까지..

카테고리 없음 2025.01.09

충격적인 AI 혁명의 서막: 젠슨 황이 CES 2025에서 그린 미래 세상

NVIDIA CEO 젠슨 황이 CES 2025 키노트에서 선보인 혁신적인 AI 기술들을 현장에서 직접 살펴봤습니다. '물리적 AI'라는 새로운 패러다임부터 책상 위의 슈퍼컴퓨터까지,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미래 기술을 만나보세요.🌟 '물리적 AI'가 온다! 디지털을 넘어 현실로"AI는 이제 단순한 데이터 처리를 넘어 물리적 세계를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 단계로 진화했습니다." 젠슨 황의 이 선언은 AI 역사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물리적 AI는 기존 AI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기존의 AI가 주어진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찾는 데 중점을 뒀다면, 물리적 AI는 현실 세계의 물리 법칙과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마치 인간이 물리 법칙을 이해하고 이..

카테고리 없음 2025.01.08

긴 워드 파일을 3페이지씩 나누어 저장하는 법

워드 파일이 길 경우에 나누어서 저장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때를 위해 간단한 VBA code를 작성하였다. 물론 페이지를 3페이지가 아니게 하고 싶으면 조금만 수정하면 된다. Sub SplitPagesIntoNewDocs() 'Declare variables Dim doc As Document Dim page As Range Dim pageNumber As Integer Dim pageCount As Integer Dim docName As String 'Set the document and page count Set doc = ActiveDocument pageCount = doc.ComputeStatistics(wdStatisticPages) 'Loop through each group of th..

World Energy Outlook 2021 - YouTube Launch Event 정리

IEA에서 WEO 2021 (World Energy Outlook 2021)을 내어 놓았습니다. 내어 놓으며 Launch Event를 live로 YouTube에서 하였습니다. 몇주후에 글래스고에서 있을 COP26회의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하였고, 이번 유럽과 중국에서의 에너지 위기는 재생에너지 확산이 원인이 아님을 여러차례 강하게 강조하였습니다. 오히려 향후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수급 불균형 문제로 이런 문제가 다시 발생할 경우에도 재생에너지 전환에 의해 각 가정의 에너지 비용 충격은 더 줄어들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시하였습니다. 관련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YouTube : (1) World Energy Outlook 2021: Launch Event - YouTube (WEO 2021에..

재능 중 가장 큰 재능은 꾸준함

(오늘의 법륜 스님 말씀 중에서...) 재능중에 가장 큰 재능은 부지런함이다. 꾸준함. 정진. "수행자는 게으르지 않고 부지런해야 한다." 꾸준히 지속적으로 노력하는 것은 어떤 재능 보다도 자기를 변화시키고 세상을 변화시키는데 큰 힘이 된다. 변화시키는데 있어서 꾸준함, 정진보다 좋은 것은 없다. 타고난 재능을 가지고 자꾸 실망하거나 하지말고 꾸준히 낙숫물이 바위를 뚫듯이 그렇게 해 나갈때, 꾸준히 정진하는 사람보다 더 나은 사람은 없다. 주어진 것은 지금 한탄한다고 바뀌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미래를 보고 주어진 것을 점점 키우는 것은 정진 밖에 없다. 꾸준한 정진만이 해탈과 열반으로 가는 지름길이다. 하지만 우리는 꾸준한 정진을 통해서 결과를 얻으려 하지 않고, 자꾸 과정없이 노력없이 좋은 결과를 얻..

모든 것을 위한 에너지를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 가능하다 - 스탠포드 Dr. Mark Jacobson 교수

100% Clean, Renewable Energy and Storage for Everything - Dr. Mark Jacobson, Stanford University (Apr.29, 2021) A Carbon-Free/ Nuclear-Free Illinois Energy Future NEIS Night with the Experts HIGHLIGHT Dr. Mark Jacobson 출처: 더 긴 질의 응답은 아래 Link에서 볼 수 있음. full presentation at: https://youtu.be/Ygejjzj5K0s 지금처럼 탄소중립이 세계적인 중심 이슈가 되기 전부터 에너지 전환을 100% 재생에너지로 이루어 낼 수 있음을 주장한 스탠포드의 Jacobson의 웨비나가 있어서 듣고 정..